로고

치아교정클리닉

교정장치 종류

교정장치 종류

교정장치는 처음에는 은색인 금속교정장치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개인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교정장치를 고를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도록 하는 안쪽으로 장착하는 설측교정장치나 투명필름으로 제작하여 잘 보이지 않는 투명필름 교정장치도 있습니다.

일반교정(순측교정)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교정장치를 치아 바깥면에 붙여서 치아를 움직이는 교정입니다. 일반교정에는 다음과 같은 장치가 있습니다.

설측교정(보이지 않는 교정)

교정장치가 순측 교정장치와는 달리 치아 안쪽면에 장착하여 외면상으로 교정장치의 노출이 아주 적으므로 심미성을 강조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설측교정의 가능여부는 검사를 통해 알 수 있고 다른 교정장치와 병행하여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초기에는 저작 불편과 발음 이상 등의 불편함이 있지만, 일정 기간의 적응을 거치게 되면 곧 익숙해지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교정장치가 밖으로 보여 교정치료를 보류하거나 포기한 경우 또는 대인관계가 많은 직장인이나 대학생, 사춘기의 예민한 청소년들에게는 심미적으로 좋은 장치입니다.

콤비교정

교정장치가 순측 교정장치와는 달리 치아 안쪽면에 장착하여 외면상으로 교정장치의 노출이 아주 적으므로 심미성을 강조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설측교정의 가능여부는 검사를 통해 알 수 있고 다른 교정장치와 병행하여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초기에는 저작 불편과 발음 이상 등의 불편함이 있지만, 일정 기간의 적응을 거치게 되면 곧 익숙해지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교정장치가 밖으로 보여 교정치료를 보류하거나 포기한 경우 또는 대인관계가 많은 직장인이나 대학생, 사춘기의 예민한 청소년들에게는 심미적으로 좋은 장치입니다.

투명필름교정

금속으로 된 와이어나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투명하게 만들어져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투명필름교정장치를 이용하는 시술법입니다. 이는 환자의 교정상태에 따라 계속 바꾸어 착용하게 되는데 순차적으로 가지런한 치욜을 갖게 됩니다. 투명하여 잘 보이지 않고 착, 탈식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간단한 부정교합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적은 양의 치아 이동만 가능하므로 턱관절에 이상이 없고 치열이 약간 불규칙한 경우, 이 사이가 약간 벌어진 경우, 심하지 않은 덧니의 치료 등에 효과적입니다. 이를 빼고 치료해야 하는 정도의 심한 덧니나 치아 사이가 심하게 벌어진 경우는 부적절할 수 있고 치열만 교정되므로 안모의 개선효과는 미약합니다. 또한, 2주~3주에 한번씩 꼭 병원에 내원하여야 하고 식사시간을 제외하고는 계속 장치를 장착하고 있어야 하므로 환자의 협조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수술교정

아래턱이 심하게 튀어나온 주걱턱이나 아래턱의 발육이 부족한 무턱, 턱이 한쪽으로 쏠려 얼굴이 삐뚤어져 보이는 안면비대칭, 웃을 때 잇몸이 너무 많이 보이는 경우 등의 안면골격 이상이나 기형 등 부조화롭게 성장한 경우에 성인은 성장을 이용한 치료를 할 수 없으므로 안면골의 형태를 바로잡는 수술과 교정을 병행하게 됩니다.

급속교정

급속교정은 치아가 최대한 빨리 이동할 수 있도록 corticotomy(피질골 박리술)을 시행하여 교정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피질골 박리술이란 치아는 치조골내에 있는 이 치조골의 구조는 치아를 둘러싸는 해면골과 그 외충의 피질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면골은 스폰지 같은 조직으로 되어 있는 반면에 피질골은 매우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치아가 이동하는데 가장 큰 저항원인인 최외층의 피질골을 제거하면 치아 이동이 훨씬 급속히 이루어 집니다. 급속교정을 위해 교정용으로 고안된 식립체(교정용 미세나사 등)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사용됩니다. 입술이 많이 돌출된 환자분들에게 빠른 안모 변화가 요구될 때 많이 시술하기도 하고 어금니의 이동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시행하기도 합니다.